
지금 사면 배당 받아요

- SOXY
일드맥스 타켓 12 반도체 옵션 인컴
25.05.06$42.97 - YMAG
일드맥스 매그니피션트 7 펀드 오브 옵션 인컴
25.05.07$14.90 - YMAX
일드맥스 유니버스 펀드 오프 옵션 인컴
25.05.07$13.16

4

QYLD
+0.18%FPEI
+1.09%PBP
+0.19%
매월 배당을 지급하는 '커버드 콜(covered call)' 상품. 파생상품인 옵션(option)을 매도하고, 매도하는 대신 받는 프리미엄을 수익으로 함. 주식가격이 박스권에서 왔다갔다 하면 계속 수익이 발생하지만, 주식가격이 하락하면 보유하고 있는 주식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에 큰 손실을 볼 수 있음. 주식가격이 하락하더라도 꾸준히 배당금이 필요한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 높은 배당률만 보고 투자해서는 안됨

4

TQQQ
3x+35.62%SPXL
3x+27.29%TECL
3x+5.64%
레버리지는 놀이터에 있는 시소의 '지렛대'를 의미. 지렛대처럼 투자효과를 1배, 2배, 3배로 만드는 것으로 정확히 말하면 돈을 빌려서 투자하는 것임. 중요한 것은 특정 기간의 수익률을 2배, 3배 만드는 것이 아니라, 매일의 수익률 (일일수익률)을 2배, 3배 하는 것 임. 이는 주가하락시 손실폭을 더 크게 만들고, 주가상승시 상승폭을 더 크게 만듬. 주가하락시에는 매우 큰 원금손실이 발생하여, 추후에 주가가 오르더라도 1배 ETF는 원금을 회복할 수 있으나 2배, 3배 레버리지 상품은 원금회복이 안될 수 있음. 따라서, 매우 노련한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상품

4

ARKK
-1.47%XT
+0.26%FXL
+0.26%
우주, 항공, IT, 인공지능, 바이오, 전기/수소차 등 새롭게 성장하는 산업에 투자. 가격상승 가능성도 높으나, 시장하락시 큰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

3

SPY
+1.42%IVV
+8.66%VOO
+8.68%

2

VYM
+0.54%DON
-0.15%SPHD
+0.13%
배당률이 높은 기업들로 구성된 ETF. 배당률이 높은 것은 기업이 이익을 잘 내고, 주주들에게 이익을 잘 돌려준다는 뜻. 하지만, 배당을 많이 주면 기업성장을 위한 투자가 부족해질 수 있음. 단순히 배당률이 높은 기업들 중에서는 시가총액이 작고, 주가 변동성이 높은 기업들도 종종 있을 수 있으므로, 어떤 기준에 의해서 투자종목을 선정하는지 살펴봐야 함

2

DIA
+0.54%PFF
+2.22%SCHH
+3.94%
일반 주식에 투자하여, 매월 배당금을 지급하는 ETF. 월별, 분기별 등 배당금을 지급하는 기준은 법이나 규정에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각 ETF가 임의대로 정하는 것이므로 매월 배당이 필요한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 하지만, 주가하락시 ETF 가격도 크게 손실이 날 수 있으므로 투자되는 주식이 어떤 것들인지 꼼꼼히 살펴봐야 함.

2

SPY
+1.42%IVV
+8.66%VTI
+0.68%
최근 30일 간, 거래대금이 가장 높은 상위 100개 ETF

2

IJR
+6.75%IWM
+4.59%VB
+7.26%
주식시장에서 평가되는 가격. 즉, 시가총액(market capitalization)이 작은 기업들로 이루어진 ETF. 보통 시가총액이 20억 달러(약2조 2천억원) 이하면 소형주라고 부르지만 각 회사마다 정해진 기준이 다름.

2

TQQQ
3x+35.62%QLD
2x+2.42%SSO
2x+1.50%
레버리지는 놀이터에 있는 시소의 '지렛대'를 의미. 지렛대처럼 투자효과를 1배, 2배, 3배로 만드는 것으로 정확히 말하면 돈을 빌려서 투자하는 것임. 중요한 것은 특정 기간의 수익률을 2배, 3배 만드는 것이 아니라, 매일의 수익률 (일일수익률)을 2배, 3배 하는 것 임. 이는 주가하락시 손실폭을 더 크게 만들고, 주가상승시 상승폭을 더 크게 만듬. 주가하락시에는 매우 큰 원금손실이 발생하여, 추후에 주가가 오르더라도 1배 ETF는 원금을 회복할 수 있으나 2배, 3배 레버리지 상품은 원금회복이 안될 수 있음. 따라서, 매우 노련한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상품

1

SPY
+1.42%IVV
+8.66%VTI
+0.68%
20대부터 50대까지 목돈마련, 내집마련, 노후준비 목적으로 꾸준히 투자하면 좋은 상품. 성장주에 집중하지 않고, 우량주에 광범위하게 분산투자 함. 주가상승이 더딜수도 있으나 장기로 꾸준히 투자하면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음.

1

VIG
0.00%SDY
+2.39%PFF
+2.22%
높은 배당률과는 다르게 매년 꾸준하게 배당을 지급해왔거나 배당률을 높여온 기업들. 매년 배당을 꾸준히 지급했다는 것은 사업모델이 안정적이고 수익창출 능력이 이미 검증됐다는 뜻임. 다만, 배당을 많이 하면 성장에 필요한 투자금이 부족하므로 배당금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님

1

SVXY
-1x-0.26%VXX
+0.63%UVXY
1.5x-23.77%
공포지수 라고 불리는 빅스(VIX) 지수에 투자함. 공포지수는 변동성을 계산한 것으로 시장에 폭락위험이 있을 때 급등함. 빅스지수는 변동성이 극도로 높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투자하는 것은 절대 금물

1

ARKK
-1.47%XT
+0.26%ARKG
-2.38%
기본적으로 ETF는 ETF가 계속 쫓아갈 지수(index)를 설정해놓으며, 이 지수를 비교지수(Underlying Index)라고 부름. 즉, 수동적으로 지수를 쫓아가는 투자를 하기 때문에 패시브(passive)투자라고 함. 하지만, 포트폴리오 매니저(예시 - Arkk의 캐서린 우드)처럼 포트폴리오 매니저가 종목을 임의대로 선정할 수 있는 ETF를 '적극적(Active)' 운용이라고 함.

1

TIP
-0.71%SCHP
+1.14%VTIP
+0.68%
물가연동채권은 팁스(Tips)라고도 불리며, 물가상승률에 따라 채권의 이자율이 함께 상승하는 채권임. 미국 정부에서 발행하여 원금보존이 되지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으면 이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 물가상승이 얼마나 될 것인지 예측하는 것이 필요

1

SHV
-0.25%SHY
-0.01%BIL
-0.23%
국가에서 발행한 채권 또는 매우 우량한 채권에 투자하며 채권의 만기가 아주 짧기 때문에 원금손실 위험이 거의 0에 가깝다. 따라서 달러로 현금을 보유하는 것보다 다소의 이자가 발생하기 때문에 유동성 자산으로 보유하기 좋음

1

SH
-1x-7.82%SDS
-2x-1.49%SPXU
-3x-22.32%
주식가격이 하락하면 수익이 발생하는 상품. 채권의 경우 이자율(금리)가 상승해야 수익이 발생함. 인버스는 최대 수익률이 100% 이고 장기적으로 항상 -100%에 수익률이 수렴하므로 극도로 위험한 투자임. 주린이들은 절대 접근 금지

1

IJH
+0.32%VO
+1.24%IWR
+0.01%
중형주는 (Mid-market capitalization) 시가총액이 대형주보다는 작고 소형주보다는 큰 종목들을 의미. 일반적으로 시가총액이 20억 달러(약 2조 2천억원) 100억 달러(약 11조원) 사이의 기업을 의미

1

SPY
+1.42%IVV
+8.66%VTI
+0.68%
20대 30대 40대 50대가 공격적으로 적립하면 괜찮은 상품. IT 등의 산업에 비중이 높은 '성장주'의 특징을 갖은 상품이 많기 때문에, 주식가격 상승 가능성도 높으나, 시장 하락시 손해를 볼 수도 있음. 한 번에 목돈을 투자하지 말고, 꾸준히 매월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것이 위험을 줄이는 방법.

1

FPX
+2.54%FPXI
+1.26%IPO
+0.06%
새롭게 주식시장에 상장(IPO: Initial Public Offerings)을 하는 주식에 투자하는 ETF. '공모주 펀드' 라고도 불림

1

AOR
+3.17%AOM
-0.18%AOA
+0.28%
시장상황에 따라서 주식, 채권, 현금의 비중을 자동으로 정해주는 상품. 이른바 '올웨더' 전략이라고도 불리며, 주식시장이 상승할 것 같으면 주식 비중을 올리고, 주식시장이 하락할 것 같으면 주식 비중을 내려준다. 하지만 항상 잘 맞지 않으므로 어떤 운용사에서 어떤 철학을 갖고 어떤 포트폴리오 매니저가 운용하는지 잘 살펴봐야 한다.

1

HYG
-0.60%JNK
+1.23%USHY
-1.09%
고수익 고위험 채권은 '하이일드(High Yield)' 라고 하며, 보통 투자등급인 BBB 미만은 BB등급 이하의 채권을 의미한다. 국제신용평가사인 스탠다드앤푸어스(Standard & Poor's) 등에서 채권등급을 평가하여, BBB등급 이상은 투자적격등급, BB등급 이하는 투기등급 이라고 볼 수 있으며, 금리인상 또는 유동성위기가 왔을 경우 원금손실 위험이 있다.

1

VCSH
-0.49%JPST
-0.38%SPSB
-0.46%
신용신용평가인 스탠다드앤푸어스(Standard & Poor's), 무디스(Moody's), 피치(Fitch)에서 평가한 채권등급이 투자등급 BBB 이상인 채권 중에서 잔존만기가 3년 이내인 미국국채와 회사채에 투자. 일반적으로 거의 위험이 없으나 단기적으로 작은 원금손실을 볼 수 있으나 6개월 - 1년 이상 보유하면 원금손실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채권들로 구성

1

USMV
+0.83%EFAV
+1.89%SPLV
-0.19%
주식시장 전체의 상승, 하락할 때, 주식가격이 가장 잘 변하지 않는 (=변동성이 낮고, 안정성이 높은) 종목들로 구성. 배당을 많거나 탄탄한 사업모델을 갖은 종목들로 구성. 시장상승시 상승은 덜 되지만, 시장하락시에도 주가방어가 잘 되는 종목이므로, 원금을 잘 지킬 때 좋음

1

PKW
+0.12%IPKW
+4.70%DIVB
+4.90%
자사주를 매입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ETF. 자사주를 매입하면, 유통되는 주식수가 감소하여 주가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음. 기업의 실적이 좋고, 영업이익이 꾸준한 기업들이 주식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자주 사용. 미국은 애플 같은 초우량 기업도 꾸준히 자사주를 매각하여 소각함

1

QLD
2x+2.42%SSO
2x+1.50%UCO
2x-9.34%
레버리지는 놀이터에 있는 시소의 '지렛대'를 의미. 지렛대처럼 투자효과를 1배, 2배, 3배로 만드는 것으로 정확히 말하면 돈을 빌려서 투자하는 것임. 중요한 것은 특정 기간의 수익률을 2배, 3배 만드는 것이 아니라, 매일의 수익률 (일일수익률)을 2배, 3배 하는 것 임. 이는 주가하락시 손실폭을 더 크게 만들고, 주가상승시 상승폭을 더 크게 만듬. 주가하락시에는 매우 큰 원금손실이 발생하여, 추후에 주가가 오르더라도 1배 ETF는 원금을 회복할 수 있으나 2배, 3배 레버리지 상품은 원금회복이 안될 수 있음. 따라서, 매우 노련한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상품

1

VTV
+4.62%IWD
+0.93%IVE
+1.14%
가치주는 밸류(Value) 주식이라고 부르며, 기업의 주식가격이 기업의 내재가치/본질적가치(intrinsic value) 보다 낮아서, 향후에 주식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종목임. 워렌 버핏이 가장 유명한 가치투자자

1

SHYG
-1.04%SJNK
+0.98%SHYL
+1.05%
고수익 고위험 채권은 '하이일드(High Yield)' 라고 하며, 보통 투자등급인 BBB 미만은 BB등급 이하의 채권을 의미한다. 국제신용평가사인 스탠다드앤푸어스(Standard & Poor's) 등에서 채권등급을 평가하여, BBB등급 이상은 투자적격등급, BB등급 이하는 투기등급 이라고 볼 수 있으며, 금리인상 또는 유동성위기가 왔을 경우 원금손실 위험이 있다. 잔존만기가 1-3년 위주로 구성된 채권이라서 원금손실이 발생하더라도 1-2년 보유하면 원금회복은 충분히 가능.

1

SDS
-2x-1.49%SPXU
-3x-22.32%SPXS
-3x-2.13%
전일 종가 대비 급등한 ETF Top 50

1

LRNZ
+0.57%TQQQ
3x+35.62%ARKK
-1.47%
전일 종가 대비 급락한 ETF Top 50

1

TBT
-2x+2.71%TMF
3x+10.04%TBF
-1x-0.08%
금리상승, 금리하락에 따라 미국국채 베팅

1

IBDQ
-0.16%BSCP
+0.05%IBDR
-0.37%
특정 시점에 만기가 정해진 채권

1

RSP
+0.01%GSEW
+6.63%DFVE
+6.14%

1

BBBI
-0.94%BBBL
-1.98%

1

QQQ
+1.93%VUG
+1.34%IWP
+10.62%
성장주는 그로쓰(growth) 주식이라고 하며, 기업들의 매출이 커지는 등 외형이 빠르게 커지는 특징을 갖고 있음. 성장성이 높다는 것은 회사의 이익창출 능력은 아직 덜 검증됐다는 뜻이고, 배당도 거의 없음.

1

QQQD
-1.75%QQQU
2x+3.05%MQQQ
2x+3.56%